^-^ 思開/書畵理論

[스크랩] 중국서예변천사(간략)

멍석- meongseog 2007. 12. 21. 19:54
 중국서예 변천사

 

一, 상(商) 주(周) 진(秦)의 서예

   선진 시대의 서체는 대전에서 소전으로 변하고 다시 예서로 바뀌는 과정을 보인다.

서예사상 가장 이른 규범화, 금체화, 초서화의 기틀이 마련됨. 재료는 갑골, 수골, 옥석,

벽돌과  기와, 청동기, 도기, 죽목, 비단 등등이다.

 

1.  도기부호

2.. 갑골문-동작빈의 분류에 의한 1, 2, 3, 4, 5기의 특징-

제 1기는 웅위(雄偉)하고 경건(勁健), 정인 25인의 수법.

제 2기는 18인의 정인 수법

근엄해 지고 1기에 비해 자형이 축소됨.

제 3기는 정인13인의 수법이 쇠미해지고 유약해짐.

제 4기는 성기고 졸박함.

제 5기는 몇 사람의 정인이 활동, 복사출토 매우 적음,

              엄숙하고 수려하나 글씨가 작고 손으로 쓴 뚜렷한 흔적이 보임.


3. 금문-

제 1기, 상금문과 서주전기의 금문<천망궤(簋)>, <우정(盂鼎)>.

제 2기, 서주 중기와  만기가 되면 주나라 사람의 서풍이 확립, 성숙, 발저 및 다양화 되는

           시기. 점획 중 비획이 점차 없어지고, 점획의 양 끝과 가운데도 점차 고르게 됨.

          글자의 결구와 장법도 고르게 됨. <산씨반>, <모공정>,

 

제 3기, 춘추전국시기의 금문. <진만보(簠)>

 금문서풍은 은말에서 전국시기에 이르기 까지 세 번 변한다.

은(殷)인 의 서(書), 주(周)인의 서, 제후의 서(書)로 변함.

은인의 금문은 경(敬)귀신 존(尊)천지의 신본사상,

주(周)인의 서(書) 경향은 예와 덕의 종법질서에 따라 규정(規整)되고 인공적인 공력이

배가  됨. 

제후의 서(書)는 지역간의 차이를 보이고 통일되지 않음.

금문은 특별한 서풍, 지역지역간의 표현차이, 공장의 차이에 따른 서예사상 최초의

 민간서 태동, 청동기 문화와 갑골문화의 차이.


4. 진나라 각석과 이사의 글씨

  <석고문>은 결구 방정, 장법은 청랑(淸郞). <태산각석>, <낭야대각석>


5. 고대 손으로 쓴 글씨흔적

  1965년 발견된 <후마맹서>는 대전의 본래 면목, 용필의 강약 변화, 서사 속도의 변화, 점획의 선명한 절주감. 또 초나라 간백에 쓴 글씨 흔적인 <정후묘죽간>은 가로로 기세가    

뻗어 예서화의 조짐이 보임. 1979년 사천성 전국시대 만기 2건의 <청천목독> 발견.

자간 거리는 넓고 성김. 장법은 표면상 행(行)은 보이나 열(列)은 무시함. 1975년 1천

여점의<운몽수호지 진간 발견. 조기 예서의 사용. 즉 진문자의 예서화.


二, 한(漢) 대의 서예

 

 양한은 중국서예사상 중요한 발전 시기이다.

서체연변상 전, 예, 초, 행, 해서가 병존하며 서로 영향을 주었고,

그 중 전서는 이미 사용범위가 축소 되었다.

 

정미(精美)롭고 질박(質朴)함은 한문화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예(禮), 사(士)의 문화풍토는 에서 비갈 위에 글씨를 남기는 원동력이 됨. 양한 서예는

예서와 초서가 대표적임.


1. 백서(帛書)

  1973년 장사 마왕퇴에서 출토된 <노자>갑본은 세로로 개격, 예서의 필획이 보임.

 

2. 간독예서

  서체는 예서와 초서의 두 종류이고 사회 하층민의 손에 의해 일상적인 내용으로

  비예술적인 서사. <거연한간>, <돈황한간>, <손빈병법>등.

 

3. 장지와 한 대의 초서

  장지의 초서는 장초의 횡세를 타파하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쓰는 법 확대.

 

4. 종요의 서예

  양흔은 채고래능서인명에서 종요의 글씨는 첫째 명석서, 둘째 장정서, 셋째 행압서라고

  함.<선시표>, <하첩표>, <천계직표> 등 5표가 유명.

 

5. 서한각석

   10 여 종의 각석이 전한다. <노효왕각석>, <래자후각석>에서 칼과 붓이

   유합된 서예문화로 발전.

 

6. 동한 마애각석

 <개통포야도각석>66년, 결구 관박, 간가는 성기면서 점획은 굳세다.

<석문송>148년, <양회표기>175년, <서협송>171년.

 

7. 동한 비각과 채옹의 서예

 예서 비각이 가장 성행한 시기. 청나라 사람 주이존(朱彛尊)은

<서악화산묘비>발문에서 한나라 예서를 세 종류로 나누었는데

첫째, 방정(方整)한 것으로는 <홍도석경>, <윤주>, <노준> 등이고

둘째, 유려(流麗)한 것으로는 <조전>, <사신> 등이고

셋째, 기고(奇古)한    것으로는 <하승>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 청나라 사람들은 <예기>, <을영>, <사신>을    한비의 ‘삼걸(三杰)’로 추숭 하였다.

<을영비>153년, <예기비>156년, <조전비>185년, 장천비>186년,

제사신령의 비각으로는<봉룡산송>, <사삼공산비> 등이 있다.

 채옹은 전, 예 양체에 능했고, <희평석경>의 글씨와 ‘구세’ 등의 서론을 남김.


三, 위진남북조의 서예

 

1. 왕희지의 서예

  <난정서>, <상란첩>, <공시중첩>, <이모첩>, <초월첩> 등의 행초작품을

남김.일대의 풍을 일으켰고, 백대의 모범이 됨.종요, 장지와 함께 중국서예의

 거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서성(書聖)’이라고 한다.

 

2. 왕헌지(344-386)의 서예

  왕희지의 7자, 소해 <낙신부>, 초서<압두환첩>, <십이월첩>.

 

3. 지영의 서예

  왕희지의 7대 손. <진초천자문>.

 

4. 정도소의 서예

  정도소(약 455-516)의 <정문공하비>

 

5. 남비와 북비

  남비는 <예학명>, 북비는 <석문명> 해서. <용문조상기>와 <묘지명>,

<장맹룡비> 등 중국문자가 예서에서 해서로 발전하는 대변혁기. 해, 행,

초의 각체가 변화 발전되고 종교, 문화도 성숙됨.


四, 수당오대의 서예

 

1. 구양순의 서예

  구체를 세상에 전하고 해서 제일가를 이룸.<화도사비>, <구성궁예천명>,

<황보탄비> 등 결구 36법에 의한 삼엄하고 험경한 글씨.

 

2. 우세남의 서예

  이왕의 필법을 바탕으로 스스로 풍골을 갖춤. <공자묘당비>.

3. 저수량의 서예

   초기 구양순을 배웠고 우세남을 계승하다 뒤에 이왕의 법과 한예를 취함.

   <안탑성교서>

4. 손과정의 서예

     <서보>를 전함.

 

5. 이옹의 서예

   북해태수를 지내 ‘이북해’라고 함. 명나라 동기창은 왕희지는 용과같고

   이북해는 코끼리와 같다고 했다. <이사훈비>.

 

6. 장욱의 서예

  초서에 능함. <고시사언>, <두통첩>에서 솔의(率義), 험절, 신일(神逸),

  화해(和諧)한 맛이 있다.

 

7. 안진경(709-789)의 서예

성당, 중당 기의 서예발전의 견인차. 44세 <천복사다보탑비>,

46세 <동방삭화찬>, 65세 <쟁좌위첩>, 60세 <안근례비>63세 <대당중흥송>,

잠두연미의 필법, 서예의 혁신. 안체로 후세에 전함.

 

8. 회소의 서예

빈한한 출신, 초기 이왕에서 중년 이후 ‘광초’로 명승 ‘취승(醉僧)’   

 이라 불림. <논서첩>, <자서첩>.

 

9. 유공권(778-865)의 서예

  ‘심정즉 필정’의 이론. <현비탑비>

 

10. 양응식(873-954)의 서예

  초서 <신선기거법첩>, 상의의 서풍을 열어 줌.


五, 송금원의 서예

  송 대 이학 흥기하자 사람들은 학식과 서권기 중시하여 상의서풍 유행.

 원 대는 상태의 서예.

1. 채양. 비행비초의 서예 <각기첩>, <홍현첩>

2. 소식. 자형 편평, 돌출인상, 언필의 특징. <황주한식시첩>

3. 황정견. <이백억구유시첩>, <송풍각시권>

4. 미불. 집고출신(集古出新), <촉소첩>, <홍현시>.

5. 조맹부. 복고주의. <삼문기>.

6. 선우추. 조맹부류.<해당시권>, <노자도덕경>.

7. 강리기기. 색목인. <장욱필법기>


六, 명대의 서예

  명인 능서, 첩학 성행, 순화각첩.

1. 송극. <칠언절구>.

2. 축윤명. <당송사가문>, 명대 초서 제일인.

3. 문징명. 명대 해서 제일인. <이소경>, <자서시권>.

4. 왕총. 명대 소해의 떠 하나의 고수. <천자문고>.

5. 서위. 명대 후기 저명한 문학가 예술가. <천와암시권>

6. 동기창. 행초가 뛰어나고 해서도 일가를 이룸. <당인시권>.


七, 청대의 서예

1.왕탁(1592-1652). 안징경의 법을 얻고 미불을 배움. <귀용관첩>,

  <초서두시권>.

2. 부산. 조맹부 배우고 안진경 배움. <초서>.

3. 정섭. 육분반서.<이백장간행일수> 판교체.

4. 유용. 첩학의 대성을 모아 북비의 맛을 냄. <원인절구>.

5. 등석여. <어적>, 서예 청나라 제일, 전각 등파(鄧派) 대기(大旗).

6. 이병수. 예서대성, 비학 선성(先聲). <절임장천비>.

7. 하소기. <예서련>, <화논어>.

8. 조지겸. 안저위면(顔底魏面). <포박자내편>, 위칠 안삼의 서법.

9. 오창석. <전서대련

출처 : 서예세상(삼도헌정태수)
글쓴이 : 서예세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