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국전통회화의 큰 흐름과 새지평 최병식_미술평론가 한국전통회화의 큰 흐름과 새지평 2002. 5. 월간 에머지 1. 근대의 자각과 암흑 조선시대 후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퇴계로 부터 이율곡을 거쳐 이익과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사상사적인 맥락은 실학의 성행으로 연결되어지고 김정희의 실사구시학파로 까지 나타나면서 모처럼 만.. ^-^ 思開/書畵理論 2011.08.28
[스크랩] 書藝의 定義와 3大要素 1.書藝의 定義와 3大要素 서예는 문자를 표현한 독특한 예술이다. 특히 모필을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기 때 문에 애초부터 문자를 기록한다는 서사적 기능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서예는 실용가치 뿐 아니라 예술적 행위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지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글 씨 쓰기 행위와 다르며.. ^-^ 思開/書畵理論 2011.04.17
[스크랩] 붓(筆)관리방법(管理方法) // 붓(筆)관리방법(管理方法) 붓의관리방법 처음 붓을 받으시면 毛가 딱딱하게 굳어 있을겁니다 (우뭇가사리 라는 식물성 풀을 이용하여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도록 외관상 보기에도 좋도록 毛가 흐트러지지않고 반듯하게 펼쳐질수있도록 만든겁니다) 일반적으로 필방에서 구매를 하시면 그 자리에서 .. ^-^ 思開/書畵理論 2011.02.14
[스크랩] 미술관련 논문 (5) - 문인화의 현대적 해석과 발전방향 문인화의 현대적 해석과 발전 방향 신항섭(미술평론가) 하나, 한국문인화의 현주소 서구미술이 도입된 이후 전통미술은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실제로 오늘의 미술현장에서 전통미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낮다. 이런 상황은 앞으로도 크게 개선될 것 같지 않다. 그 만큼 전.. ^-^ 思開/書畵理論 2011.02.12
[스크랩] 논문 (2) - 문인화의 위상, 그리고 현대회화로서의 비전 문인화의 위상, 그리고 현대회화로서의 비전 신항섭(미술평론가) 문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있는 오늘 세계미술계는 세기말적인 징후를 뚜렷이 보이고 있다. 다가오는 21세기에 대한 기대감을 부풀리면서도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는 입장으로서의 명확한 시나리오가 .. ^-^ 思開/書畵理論 2011.02.12
[스크랩] 동양화 읽고 보는법 동양화 독화법 동양화(東洋畵)를 대하다보면 몇 가지 의문점을 갖게 된다. *첫째는 이치에 맞지 않는 일들이 그림에 그려졌다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 있지 않았던 일이 마치 있었던 것처럼 가상적으로 그려졌다는 것이다. *셋째는 고금(古今)을 통하여 동일한 형식의 그림이 계속 그려졌다는 것이다. &.. ^-^ 思開/書畵理論 2010.06.04
[스크랩] 난(蘭)의 운필법(運筆法) ▶난(蘭)의 운필법(運筆法) ★ 蘭을 그릴때의 마음가짐은 긴장속에서 몸은 느슨함이 요구된다. ■ 묵란(墨蘭)을 그릴 때는 마음을 가다듬고, 심신이 하나가 되게 하고 운필(運筆)에는 부드럽고 곡선적이면서도 기운이 있어야 한다. ■원(元)나라 각은(覺隱)이 "난을 그릴 때는 기쁜 마음으로 그리지 않.. ^-^ 思開/書畵理論 2010.03.05
[스크랩] 한자의 기원부터 각 체의 성립까지 1. 머리말 인생의 취미 중에서 가장 고상한 것 은 예술을 감상하고 창작하는데 있다고 본다. 서예(書藝)는 고대 중국에서 처음으로 창조된 동양의 문자 - 한자(漢字) - 를 수사 미화(手寫美化)한 정신적 조형예술이고, 다른 외부의 영향이 없이 중국 문화권 특유의 예 술로서 회화와 밀접하게 관련하며 .. ^-^ 思開/書畵理論 2010.01.01
[스크랩] 魏晋시대의 用筆論과 流美論 서예가 예술의 한 영역으로 자각되기 시작한 것은 漢나라 시대이며 때를 같이 하여 서예 이론이 탄생하였다. 魏晋시대에 모든 서체가 완전한 형태로 자리잡게 되자 書論도 점차 체계를 잡아가고 범위도 넓어진다. 기록과 전달, 그리고 禮樂의 효용이 서사 활동의 목적인 시대에서 창작하고 감상하는 .. ^-^ 思開/書畵理論 2010.01.01
[스크랩] 書藝의 定義와 3大要素 1.書藝의 定義와 3大要素 서예는 문자를 표현한 독특한 예술이다. 특히 모필을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기 때 문에 애초부터 문자를 기록한다는 서사적 기능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서예는 실용가치 뿐 아니라 예술적 행위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지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글 씨 쓰기 행위와 다르며.. ^-^ 思開/書畵理論 201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