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 갑골문(殷ㆍ商) 1. 甲骨文(殷ㆍ商) 은ㆍ상시기의 선조들은 특별히 귀신을 숭상했다. 크고 작은 모든 일, 즉 전쟁수렵경작을 비롯하여 자연의 풍우와 번개 등은 일종의 신의 역량으로 좌우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일을 하기 전에 먼저 신령의 암시를 얻기 위해 신에게 점을 물었다. 점.. ^-^ 思開/書畵理論 2008.06.07
[스크랩] 사송정 - 대전쓸 때 붓을 다루는 방법 史頌鼎 사송정 史頌鼎 西周서주 말기 청동기 높이 : 37.3 지름 : 35.7 무게 : 9.25킬로 口部微斂,下腹外鼓,方唇寬沿,立耳蹄足。 頸部飾有三組變形獸面紋(竊曲紋), 間隔以六道棱道,腹部飾寬大的環帶紋,三足上部飾浮雕獸面。 대전쓸 때 붓을 다루는 방법 大篆是“画”出来.. ^-^ 思開/書畵理論 2008.02.26
[스크랩] 조선시대 금석학 조선시대 금석학 연구의 실태 1. 글머리에 金石學의 연원은 중국에서 찾을 수 있다. 宋代 歐陽脩의 集古錄 趙明誠의 金石錄이 나온 바 있고 이후 많은 저록들이 나왔다. 그러나 금석학이 하나의 학문분과적 성격을 띠면서 크게발전한 것은 淸代에 들어와서이며 翁方綱 王昶 孫星衍 葉昌熾 趙之謙 등 금.. ^-^ 思開/書畵理論 2008.01.29
[스크랩] 시성(詩聖)두보(杜甫) 자 자미(子美). 호 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컫는다. 본적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샹양[襄陽]이지만, 허난성[河南省]의 궁현[鞏縣]에서 태어났다. 먼 조상은 진대(晉代)의 위인 두예(杜預)이고, 조부는 초당기(初唐期)의 시.. ^-^ 思開/書畵理論 2008.01.20
[스크랩] 시선(詩仙) 이백 시선(詩仙) 이백 자 태백(太白). 호 청련거사(靑蓮居士).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한다. 그의 생애는 분명하지 못한 점이 많아, 생년을 비롯하여 상당한 부분이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 그의 집안은 간쑤성[甘肅.. ^-^ 思開/書畵理論 2008.01.20
[스크랩] 태교서예에 대하여, 胎敎書藝 글 :찻잎(동두천시 아름다운 문화센터 태교서예지도강사) 1.태교서예는 무엇인가? 태교서예란, 임산부가 정신을 수양하여 태아에게 정서적인 안정과,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는 심성교육을 반영토록 하게 하는 교육으로써, 현대적인 스트레스와 좋지 않은 환경을 멀리하고, 임신중의 불안해소.. ^-^ 思開/書畵理論 2008.01.12
[스크랩] 形線十二法 달이 물처럼 찻잎, 애닯은,,달하나 물처럼,,흐르는 새벽은 白癡香 빈 뜰에 여미었다,, 벗은 世上안에 갇혔는데. 새벽바람만,,싸늘히 가슴에 뿌리운다, 붓은 藥石이라 耿耿孤枕을 재운다,, 미친짓 아닌가,, 六十心이.. 蓮窓에 아우러지니.. 도무지,,치솟는,,화를 잠재우기가 어렵다, 내 안의..본분을 알길.. ^-^ 思開/書畵理論 2008.01.12
[스크랩] 서예는 修鍊(수련)이 아닌 修養(수양)의 세계 -1 서예는 修鍊(수련)이 아닌 修養(수양)의 세계-1 찻잎(삼화당) 오늘은 서예를 하는 이들이 자칫 오인하는 부분들을 정리해보고 싶어 글을 쓴다, 서예를 접하는 이들이 공부하다보면 힘들어하는 부분이 무엇인가? 끝없는 반복된 熟練(숙련)된 글씨를 쓰기위해 노력을 하다보면, 팔의 腕痛(완통)을 호소하.. ^-^ 思開/書畵理論 2008.01.12
[스크랩] 中鋒익히기-기초 중봉익히기 1 찻잎(三和堂 ) 처음 붓을 잡고 획을 그어보고 ,약 두달정도 붓을 잡고 기초를 다진다면 거의 모든 이들이 중봉이란 붓을 바르게 가야하고, 엎어서 藏鋒(붓끝을 감추는법) 만 하면 되는줄 아는것을,,종종본다, 그리고 얼마 있어서 붓이 말을 안듣는다고 하소연을 한다, 본디 붓이 잘못된것.. ^-^ 思開/書畵理論 2008.01.12
[스크랩] 餘白의 美 餘白의 美와 第四의 空間 三和堂이라고도 하고 찻잎이라고도 하고,라고도 부른다,(瑨木散房)- 1, 餘白의 美(제3의 공간) 눈을 감고있으면. 제대로 보일리가 없다, 그런데 눈을 뜨고 있는데 서로 보는 시각이 틀리니.이는 書藝의 오묘한 造形세계를 구분짓는 하나의 派가 아닐수 없다, "一 인가 하나의 線.. ^-^ 思開/書畵理論 200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