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즉 낱내[音節]가 생성되려면 자음[닿소리:初聲, 終聲]과 모음[홀소리: 中聲]인 낱자{字母]가 어울려야[합하여야] 한다. 초성과 중성이 합하여 받침이 없는 초중성합자, 그리고 초·중·종성자가 합하여 받침이 있는 초중종성합자가 이루어지는데 그 낱자는 다음과 같은 위치로 배치하여 낱내가 이루어진다. 좌우(자음+모음) 배치 : 가 나 다 라 마 ........ (모음+자음) 배치: 상하(자음+모음) 배치 : 구 누 두 루 무 ........ (모음+자음) 배치: 상하우 배치 : 과 놔 돠 롸 뫄 ........ 좌우하 배치 : 각 낙 닥 락 막 ........ 갉 낡.....(자음+모음+모음): 상중하 배치 : 국 눅 둑 룩 묵 ........ 굲 눊 상하우하 배치 : 곽 놕 돡 롹 뫅........ 괂 놚
1.3 한글의 구성 방법은 과학적이고 구조적인 조형미를 갖춘 문자이다. |
|
|
 |
1.3.1 한글 자모음의 기본구조 | |
 |
기하학적 꼴로 이루어진 한글 자모음의 기본 구조를 칸딘스키 예술론에 제시된 타이포그라피의 원천적 분석 요소인 점, 선, 면에 의거하여 분석하면 ㆍ ㅡ ㅣ / ㅿ ㅁ ㅇ 꼴이 모두 나오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같이 각종 기본꼴이 빠짐없이 포함되어 구성된 자모음, 자모음이 모여서 하나의 문자로 이루어진 한글은 구성 방법이 과학적이고 형태가 구조적 조형미를 갖추고 있는 문자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오는 기본꼴 7종류의 조형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획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ㆍ는 ㅡ ㅣ자 등의 모음으로 쓰이는 큰독립점과, ㅏ ㅗ 등의 모음에 같이 쓰이는 작은 병서점이 있다. 이 점들은 가로폭과 세로폭의 길이가 비슷한 정원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졌다. 선으로 이루어진 ㅡ ㅣ / 은 가로선, 세로선, 사향선으로 같은 굵기의 곧은 직선이고, 운필 방향은 완벽한 수직, 수평, 대칭사향으로 방향이 일정하다. 서선의 처음과 끝부분 획형은 둥근 원획으로 나타냈다. 면으로 이루어진 ㅿ ㅁ ㅇ 은 삼각형, 사각형, 정원형으로, 모든 서선 굵기가 일정하고, ㅿ ㅁ 는 예리한 각형으로 가장자리 모서리가 이루어졌으며, 가로나 세로 중심선에 기준하여 완전한 대칭형을 이룬다. |
|
<한글 자모음의 기본구조 분석비교도> |
(도2) | |
|
 | |
|
 |
1.3.2 한글 자모음의 원형구조 | |
|
(1) 한글 자음의 구조 |
① 한글 자음의 짜임 규칙 훈민정음에 나오는 32종의 자음을 (도2)과 같이 늘어놓아 보면 오묘하게 이루어지는 형성 원리를 발견하게 된다. 즉 ㅁ을 기본으로 중심 위치에 놓고 우측으로 ㄱ ㅋ, ㅂ ㅍ, 좌측으로 ㄴ ㄷ ㅌ ㄹ, 위쪽으로 ㅇ ㆆ ㅎ, 아래쪽으로 ㅅ ㅈ ㅊ을 놓으면 전체 모양이 + 자형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생긴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 모형의 상하·좌우를 축으로 보아 서로 이웃하는 축의 자음끼리 결합하면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 자음인 병서가 생긴다. 이러한 + 자형 배자도에서 ㄱ ㄴ ㄹ ㅍ ㅁ ㅇ 은 180도를 회전시켜도 같은 자음이 형성되어 가독성이 높으며 아름답고 오묘한 짜임의 자음들이 생기는 규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한글창제의 기본원리는 훈민정음해례본 제자해[만듬풀이]에서 설명되는데 여기에 제시된 자음을 모두 집자하여 구조도를 꾸며 봄으로써 자음 구조의 뛰어난 형성원리나 조형적인 오묘함과 아름다움에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도3 참조) |
|
<한글 자음 획형의 형성 및 y 회전성 구조도> |
(도3) | |
|
 | |
|
② 한글 자음의 짜임 한글 자음을 기본이 되는 자음과 두 가지 자음이 어울려 이루어진 자음으로 나누어 보면그 짜임의 특징이 다음과 같다. (도4. 참조) |
|
<한글 자모음의 기본구조 분석비교도> |
(도4) | |
|
 | |
|
<기본이 되는 자음> * 아음 ㄱ ㅋ, 설음 ㄴ ㄷ ㅌ ㄹ 은 모두 수평선과 수직선이 이어서 직각으로 방향을 꺾어서 나타냈고, 두 개의 가로 서선들은 평행이 되게 일정한 굵기로 나타냈다. * 순음 ㅁ ㅂ ㅍ 은 서로 마주보는 선을 평행이 되게 하여 외형을 사각형으로 나타냈다. * 치음 ㅅ ㅈ ㅊ은 가로선은 수평으로, 사향선의 좌우측 부분은 모양과 방향을 대칭이 되게 나타냈다. 은 2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나타냈다 * 후음 ㅇ ㆆ ㅎ 과 아음 은 ㅇ 부분이 모두 원형이고, 좌우대칭형으로 나타냈다.
<어울려 쓰는 자음> * ㄲ ㄸ ㅃ ㅆ ㅉ ㆀ 은 같은 자음을 좌우로 같은 크기로 배치하여 나타내되 서로 닿지 않게 나타냈다.-각자병서라고 부른다. * 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을 서로 닿지 않게 같은 크기로 좌우로 배치하였고, ㅵ은 3개의 자음을 가로 폭을 좁은 형태로 꾸며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였다. 받침으로 쓰인 도 왼쪽은 작게 오른쪽은 크게 서로 닿지 않게 나타냈다. -합용병서라고 부른다. * 은 위 자음은 크게, 아래 ㅇ은 작게 위 자음 중간에 살짝 닿게 꾸몄다 |
(2) 한글 모음의 구조 |
① 한글 모음의 짜임 규칙 훈민정음해례본에 나오는 모음은 단독으로 나오는 기본모음 11종, 두 개이상의 모음이 합하여 이루어진 중모음 20종 등 모두 31종이 된다. 기본이 되는 · ㅡ ㅣ 기본자를 1, 2 차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모음을 ·를 중심점 위치에 놓아 (도4)와 같이 구성하면 모음의 구조적 형성원리가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모음 · 를 기본으로 ㅡ 를 상하, ㅣ를 좌우로 배치하고 다시 상하로 ㅗ ㅜ, 좌우로 ㅓ ㅏ를 배치한 후 마지막으로 상하좌우에 ㅛ ㅠ ㅕ ㅑ를 배치하면 + 자 형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한쪽으로 보아 형성되는 ㅣ ㅏ ㅑ를 좌우 상하로 돌려서 배치한 회전성의 모음 획형이 이루어지는 + 형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 자형으로 놓아진 단모음 사이에 중모음들이 형성되는데 오른쪽 위 부분에 ㅐ,ㅒ, , ᆄ,ᆅ, 오른쪽 아래 부분에 ㅓ,ㅢ, , , ᆒ, 왼쪽 아래 부분에 ᆝ,ᆜ,ㅟ,ㅝ,ㅞ 왼쪽 위 부분에 ㅔ, ㅖ, ㅚ, ㅘ, ㅙ가 형성되는 구조적 규칙이 이루어진다. (도5 참조) ㅁ 는 예리한 각형으로 가장자리 모서리가 이루어졌으며, 가로나 세로 중심선에 기준하여 완전한 대칭형을 이룬다. |
|
<한글 모음 획형의 형성 및 y 회전성 구조도> |
(도5) | |
|
 | |
|
② 한글 모음의 짜임 훈민정음에 나오는 모음의 종류 모두 31종을 아래와 같이 단모음 11종, 중모음 20종으로 나누어 짜임의 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도6 참조) |
|
단모음 * 점 모양으로 된 · 은 원형으로, ㅡ ㅣ는 같은 굵기의 직선으로 처음과 끝 부분이 둥근모양으로 생겼다. * 2개 이상의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ㅗ ㅛ ㅜ ㅠ ㅏ ㅑ ㅓ ㅕ 의 점은 둥근 원형으로선과 사이를 띄웠고, 원형과 직선획의 배치위치는 한 개인 경우는 중간부분, 두 개인 경우는 3/1, 3/2정도 부분에 위치하되 ㅗ ㅛ ㅜ ㅠ 는 점을 가로선 위와 아래에 위치하도록 했고, ㅏ ㅑ ㅓ ㅕ 는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나타냈다.
중모음 * ㅢ ㅚ 같은 중모음은 서선이 수평과 수직으로 놓이되 서선 굵기 정도로 띄어서 나타냈다. * ㅐ ㅔ 같은 중모음은 긴서선은 평행으로, 서선 굵기와 크기는 서로 같게 하여 획 사이를 닿지 않게 나타냈다. * ㆋ ㆈ 같은 점획수가 많은 중모음은 가로폭을 크게 나타내되 획 사이를 붙지 않게 나타냈다. |
|
|
|
 |
한글 자음과 모음이 모여서 이루어진 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자음과 모음 순서로 구성된초중성합자와 자음, 모음, 자음 순서로 구성된 초중종성합자의 짜임을 알아본다. |
|
(1) 합자의 정상 구조 |
① 받침이 없는 초중성 합자의 짜임 자모음의 위치에 따른 짜임의 특징 자음과 모음을 좌우위치로 정한 키, 리, 비 자 등은 자음을 작게, 모음을 크게 나타내되 자음을 모음의 중간위치보다 약간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하였다. 이는 자음의 위치를 아래로 처져 보이지 않게 보이도록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을 상하위치로 나타낸 구 드 브 자 등은 자음을 작게 모음을 조금 크게 하되 서로 서로 닿지 않게 하여 가로폭이 조금 큰 자형을 이루도록 꾸몄다. 또한 자음의 위치를 모음의 좌우 중간 위치에 오도록 했다. 자음과 모음이 상하우 3가지 위치로 구성된 괴 되 믜 자 등은 왼쪽의 자음과 모음부분의 상하폭 크기를 좌우위치 구성문자(예 : 키 리 비)의 자음의 상하폭 크기와 위치를 비슷하게 나타냈다.
문자 짜임 규칙에 따른 짜임의 특징 자음과 모음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문자들은 다음과 같은 문자 짜임 규칙을 고려하여 꾸민 것으로 특징이 나타난다. 문자에서 자음과 모음 사이를 가로나 세로로 사이의 간격을 나누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위치하도록 꾸민 것으로 나타난다. 초성자음의 획수가 적은 글자(예:니)는 획수가 많은 글자(예:히)보다 작게 나타내는 등 획수에 따라 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나타냈다. 가로선과 세로선으로 이루어진 글자들의 서선 각도는 90도, 180도 방향으로의 수직과 수평방향이고, 사향선으로 이루어진 글자들의 서선각도는 좌우서선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나타냈다.
② 받침이 있는 초중종성 합자의 짜임 자모음의 위치에 따른 짜임의 특징 좌우하 위치로 이루어진 감 납 밥 자 등은 자모음을 서로 닿지 않게 나타냈다. 받침 종성의 가로폭 크기를 위의 초종성부분 가로폭 크기와 비슷하게 크게 나타내되 중성이 ㅏ ㅑ 로 된 글자는 오른쪽 점을 제외한 가로폭 크기와 비스하게 나타냈다. 상중하 위치로 이루어진 군 자 등은 역시 자모음 사이를 서로 닿지 않게 나타냈다. 그리고 초성과 종성 가로폭 크기를 같게 하고 모음의 가로폭 크기를 약간 크게 나타냈다. 단 초성이나 종성으로 쓰인 ㅇ 의 경우는 너무 크게 보이지 않게 착시현상을 고려하여 다른 자음들 보다 작게 나타냈다. 또 초종성이 복자음 ㅃ ㅉ ㄸ 인 경우는 가로폭 크기를 모음의 가로폭 크기와 같게 나타냈다.
문자 짜임 규칙에 따른 짜임의 특징 자음과 모음, 자음으로 이루어진 문자들의 짜임 규칙은 초중성합자의 특징과 같다. 그러나 초중성합자 보다는 문자의 크기는 크게, 각 자모음의 서선 굵기는 가늘게 나타냈다. |
|
<훈민정음해례본 합자의 유형별 자모음 구성 분석도> |
(도7) | |
|
 | |
|
(2) 합자의 변형적 구조 |
초중종성 합자 중에는 문자를 180도로 방향을 바꾸어도 다른 정상 문자로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모든 문자들은 크기를 확대, 축소하는 등 변화를 주어도 조형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 |
|
① 회전성 문자 초성자 ㅇ 이 나오는 육, 울 자는 180도 회전시키면 구조적으로 완벽한 뇽, 롱 자로 형성되고, 초성 ㄹ 이 나오는 름,륵 자는 믈, 늘 자로, 군 자는 곤 자로 형성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사실로 보아 활자를 만들 때 한 글자를 만들어 두 글자용으로 겸용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
|
<한글 초중종성합자의 회전성 변형구조> |
(도8) | |
|
 | |
|
② 확축성 문자 상하폭이 15mm에서 20mm 정도의 글자들을 10% 정도로 축소하거나, 200% 정도 등 여러 비율로 확대하여도 조형적 구조나 가독성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구조적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
<한글 초중종성합자의 회전성 변형구조> |
(도8) | |
|
 | | |
1.4 한글 글꼴은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문화의 산물입니다. | |
 |
위에서와 같이 훈민정음해레본에 나타나는 한글은 창제한 방법이 과학적이고, 한글 글꼴의 짜임이 규칙성이 있고, 구조가 오묘하며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문화유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글은 자음을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 등 5가지 발음기관의 모양을,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의 3가지 형상을 기본으로 결합하여 자모음을 만들었다. 다시 이 자모음 28자를 상중, 상중하, 좌우, 좌우하 위치 등으로 배치시켜 수많은 독립된 글자를 만들었다. 한글의 글꼴은 기본이 되는 점획으로 · ㅡ ㅣ / △ ㅁ ㅇ 이 나오는데 이러한 상황으로 보아 조형의 3대 요소인 점·선·면이 고르게 포함된 글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요소가 모여서 자모음이 생기게 되고, 다시 자모음이 위치에 따라 규칙적으로 모여서 하나의 문자-낱내가 이루어지는 한글 글꼴의 짜임에 대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자모음이나 합자는 글꼴의 과학적인 규칙성이나 구조적 조형성에 대한 특징이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
|
 |
 |
 |
 |
|
|
* |
참고문헌 |
|
|
|
김승일 역, 1997, 세계의 문자, 서울 : 범우사. 권태선, 1992, 한글연구 1. 2, 대구 : 우골탑. 문화체육부,1993,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연구, 학술회의유인물. 박병천, 2000, 한글판본체연구, 서울 : 일지사. 박병천, 1983, 한글궁체연구, 서울 : 일지사.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서울 : 지식산업사. 박종국, 1976, 훈민정음, 서울 : 정음사. 박종국,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유창균, 1982, 훈민정음, 서울 : 형설출판사. 이관수,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서울 : 통문관. 이정호, 1984, 훈민정음의 구조와 원리, 서울 : 아시아문화사. 이종인 역, 1995, 문자의 역사, 서울 : 시공사. 조선어학회, 1946, 훈민정음. 영인본, 서울 : 보진재. 한글학회, 1997, 제6회 국제한국어학술발표논문집, 서울 : 한글학회. 허웅, 1974, 1999, 한글과 민족문화, 서울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 | |